맨위로가기

위대한 독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대한 독재자》는 찰리 채플린이 감독, 각본, 제작, 주연을 맡은 1940년 미국의 풍자 코미디 영화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를 풍자하여, 유대인 이발사와 토메니아의 독재자 아데노이드 힌켈의 모습을 통해 독재와 전쟁의 비극성을 그렸다. 이 영화는 개봉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마지막 연설 장면은 평화와 민주주의, 인간애를 강조하며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비평적으로도 호평을 받아 아카데미상 여러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후대 영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돌프 히틀러를 소재로 한 영화 - 조조 래빗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나치 독일 점령하 독일에서 나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문을 품고 성장하는 10살 소년 조조 베츨러의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 영화 《조조 래빗》은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 연출, 로만 그리핀 데이비스, 토마신 매켄지, 스칼릿 조핸슨, 샘 록웰 등이 출연했으며, 나치즘과 전쟁의 잔혹함을 풍자와 유머로 묘사하면서 인간애와 희망을 전달하여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 아돌프 히틀러를 소재로 한 영화 -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점령하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유대인 특수 부대 "바스터즈"와 복수를 계획하는 프랑스계 유대인 영화관 주인 쇼산나 드레이퓌스의 이야기를 다룬다.
  • 찰리 채플린 감독 영화 - 봉급날
    건설 노동자 찰리가 봉급을 받은 후 술을 마시고 귀가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찰리 채플린의 1922년 코미디 영화 봉급날은 채플린의 마지막 2릴 코미디로, 몬타 벨 감독의 도움으로 빠르게 제작되었다.
  • 찰리 채플린 감독 영화 - 즐거운 하루
    찰리 채플린이 제작한 1919년 단편 코미디 영화 "즐거운 하루"는 채플린 가족의 나들이에서 벌어지는 배멀미, 싸움, 소동 등의 슬랩스틱 해프닝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작품으로, 개봉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채플린의 퍼스트 내셔널 시기 대표작 중 하나이다.
  • 정치 풍자 영화 - 디 인터뷰
    2014년 개봉한 정치 풍자 코미디 영화 《디 인터뷰》는 김정은 인터뷰를 성사시킨 토크쇼 진행자와 프로듀서가 CIA의 암살 지령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영화로, 북한의 반발, 해킹 사건, 테러 위협 속에 논란과 화제 속에 개봉하여 평범한 평을 받았다.
  • 정치 풍자 영화 - 독재자 (영화)
    독재자 (영화)는 동아프리카 가상 국가를 배경으로 독재자가 뉴욕 방문 중 겪는 사건들을 코믹하게 그린 영화로, 정치 풍자와 유머를 담았지만, 이슬람 혐오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위대한 독재자 - [영화]에 관한 문서
영화 정보
제목위대한 독재자
원제The Great Dictator
감독찰리 채플린
휠러 드라이든
제작찰리 채플린
각본찰리 채플린
출연찰리 채플린
파울레트 고더드
잭 오키
음악찰리 채플린
메러디스 윌슨
촬영카를 스트루스
롤란드 토자로우
편집윌라드 니코
제작사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찰스 채플린 필름 코퍼레이션
배급사유나이티드 아티스츠
동화
개봉일1940년 10월 15일 (미국)
1960년 10월 22일 (일본)
1973년 10월 (일본, 리바이벌 상영)
상영 시간124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 비용$2,000,000
흥행 수입월드와이드 $5,000,000
일본 1억 6800만 엔
영화
극장 개봉 포스터
기타 정보
미국 영화 연구소 (AFI)100대 코미디 영화 (37위)
미국 국립 영화 등기부등록

2. 역사적 배경

《위대한 독재자》는 나치 독일아돌프 히틀러 치하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배경으로 한다. 나치 독일은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과 동맹을 맺었고, 이들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추축국들이다. 영화 속 힌켈은 아돌프 히틀러, 나폴로니의 박테리아국은 이탈리아 왕국으로 볼 수 있다.

1939년 나치 독일이 폴란드 침공을 감행하자 영국프랑스가 선전포고를 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찰리 채플린은 요트에서 라디오를 통해 이 소식을 들었다고 그의 자서전 《찰리 채플린: 나의 자서전》에 기록했다. 1940년 영화가 개봉되었고, 이듬해 히틀러는 러시아 침공을 단행했다.

2. 1. 나치 독일의 등장과 팽창

2. 2.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

2. 3. 미국의 고립주의와 참전

2. 4. 한국의 상황

3. 줄거리

제1차 세계 대전 중, 토메니아 육군 중포 부대에 소속된 유대인 이발사(찰스 채플린)는 전선에서 부상당한 비행사관 슐츠를 구출한다. 슐츠가 소지하고 있던 중요 서류를 본국에 전달하기 위해 두 사람은 소형 비행기를 타고 가지만, 연료 부족으로 추락한다. 살아남은 두 사람은 아군에게 구조되지만, 토메니아가 이미 항복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발사는 추락의 충격으로 기억을 잃고 병원에서 지내게 된다.[124][125][126]

3. 1. 제1차 세계 대전과 유대인 이발사

유대인 이발사는 제1차 세계 대전에 토메니아 군인으로 참전한다.[124] 전투 도중 부상당한 슐츠 장교를 구출하고 함께 비행기를 몰고 가던 중 연료 부족으로 추락, 이발사는 기억상실증에 걸려 수년간 병원에서 지내게 된다.[124][125][126] 그 사이 토메니아는 아데노이드 힌켈이 이끄는 쌍십자당의 독재국가로 변모하고, 힌켈은 유대인들을 탄압한다.[127][128]

3. 2. 독재자 힌켈의 등장

이발사가 병원에서 지내는 동안, 토메니아는 정변을 일으켜 아데노이드 힌켈(채플린의 1인 2역)이 이끄는 전체주의 국가로 변모한다.[74] 힌켈은 선전 장관 가비치(헨리 대니얼)와 전쟁 장관 헤링 원수(빌리 길버트)의 보좌를 받으며, 유대인을 박해하고 세계 정복의 야욕을 드러낸다.

히틀러를 풍자한 채플린


독재자 힌켈은 세계 정복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군자금을 마련하려 하고, 가비치는 유대인 은행가에게 돈을 빌리자고 조언한다. 힌켈은 유대인의 환심을 사기 위해 일시적으로 탄압을 중지하고, 게토에는 짧은 평화가 찾아온다. 그러나 엡스타인과의 협상이 결렬되자 유대인에 대한 탄압이 재개된다.[129]

힌켈은 인접국 오스트리치 침략을 꾀하고, 유대계 자본에서 돈을 빼앗기 위해 유대인 억압 정책을 완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금 지원을 거절당하자 다시 태도를 바꾸어 유대인 박해를 강화한다.

인접국 박테리아의 독재자 벤치노 나파로니는 토메니아의 힌켈과 오스트리치 침공을 놓고 갈등한다.

3. 3. 게토에서의 만남

병원에서 퇴원한 이발사(찰스 채플린)는 자신이 운영하던 이발소가 있는 게토로 돌아온다. 이발사는 이웃 처녀 한나(폴레트 고다드)와 사랑에 빠진다. 이발사는 힌켈의 앞잡이인 돌격대에 폭력을 당하지만, 돌격대의 존재를 모르고 저항하다가 목숨을 잃을 뻔 한다.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부상당했던 자신에게 도움을 받고, 지금은 돌격대장이 된 슐츠가 이발사가 유대인임을 알고도 과거의 은혜를 생각해 이발사와 그의 이웃들에게 손대지 말 것을 명령하며 위기를 모면한다.

3. 4. 힌켈과 나폴리니의 갈등

힌켈은 오스테를리히(Österreich) 침공을 계획하던 중, 이웃 나라 박테리아(Bacteria)의 군대가 오스테를리히 국경에 집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130] 이 때문에 힌켈은 박테리아의 독재자 벤지노 나폴리니(Benzino Napaloni)[131]를 초청하여 협상을 한다. 두 독재자는 오스테를리히 침공을 놓고 격렬한 협상을 벌였다. 결국 나폴리니와 서로 오스테를리히를 침공하지 않기로 조약을 맺지만, 힌켈은 처음부터 이 협정을 지킬 의사가 없었다.[130]

3. 5. 운명의 장난

힌켈과 이발사는 외모가 매우 닮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두 사람의 운명이 엇갈리게 된다.[124][125] 힌켈은 세계 정복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오스테를리히(Osterlich)[129]를 정복하려 하고, 이 과정에서 벤지노 나팔로니 (벤지노 나팔로니)와 갈등을 겪지만, 결국 협정을 맺고 오스테를리히 침공을 단행한다.[6] 한편,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기억상실증을 앓던 유대인 이발사는 토메니아의 독재자 아데노이드 힌켈[125] 치하에서 슐츠 사령관의 도움으로 게토에서 생활한다. 그러나 힌켈의 유대인 탄압 정책이 강화되면서 슐츠는 체포되고, 이발사는 한나와 함께 쫓기는 신세가 된다.

슐츠와 이발사는 강제 수용소에서 탈출하여 토메니아 군복을 훔쳐 입고 오스트리아 국경으로 향한다. 이 과정에서 힌켈은 사냥을 하던 중 이발사로 오인받아 체포되고, 이발사는 힌켈로 오인받아 오스테를리히 정복 연설을 하게 된다.[74] 이발사는 힌켈을 대신해 연단에 서서 자유, 관용, 인종 간 화합을 호소하는 연설을 하고, 한나에게 희망을 버리지 말라는 메시지를 라디오를 통해 전달한다.

3. 6. 이발사의 연설

이발사는 힌켈로 오해받아 연단에 올라 독재와 전쟁을 비판하고 자유, 평화,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연설을 한다.[125][126][127][128] 이 연설은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전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토메니아 군인이었던 이발사는 슐츠라는 장교를 구출하지만 비행기 추락 사고로 기억상실증에 걸린다.[124] 오랜 시간이 흐른 뒤, 토메니아는 독재자 아데노이드 힌켈이 통치하는 국가가 되어 있었고, 이발사는 병원에서 나와 자신이 운영하던 이발소로 돌아온다. 그는 유대인 탄압에 맞서 싸우다 슐츠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이웃 아가씨 한나와 사랑에 빠진다.

힌켈은 세계 정복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유대인 은행가에게 돈을 빌리려 하지만 실패하고, 유대인 탄압을 재개한다.[129] 슐츠는 힌켈의 정책에 반대하다 체포되고, 이발사와 한나는 쫓기는 신세가 된다. 슐츠와 이발사는 수용소로 보내지고, 한나와 가족들은 오스테를리히로 피신한다.

힌켈과 이발사의 외모가 비슷했기 때문에, 힌켈은 이발사로 오해받아 체포되고, 이발사는 힌켈로 오해받아 오스테를리히 정복에 나선다. 이발사는 군중 앞에서 연설하게 되는데, 그는 힌켈과는 정반대로 반(反)독재, 평화,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적인 연설을 한다. 한나를 포함, 전 세계의 억압받는 사람들은 라디오를 통해 이발사의 연설을 듣고 희망을 얻는다.

4. 등장인물


  • 토메니아국의 독재자 아데노이드 힌켈, 유대인 이발사: 찰스 채플린[75]
  • 한나: 폴레트 고다드[75]
  • 박테리아국의 독재자 벤치노 나파로니: 잭 오키[75]
  • 내상 겸 선전상 가비치: 헨리 다니엘[75]
  • 슈르츠 사령관: 레지날드 가디너[75]
  • 전쟁상 헤링 원수: 빌리 길버트[75]
  • 제켈: 모리스 모스코비치/모리스 모스코비치영어[75]
  • 제켈 부인: 에마 던/에마 던영어[75]
  • 만: 버나드 가시/버나드 가시영어[75]
  • 아가: 폴 바이겔/폴 바이겔영어[75]
  • 나파로니 부인: 그레이스 헤일/그레이스 헤일영어[75]
  • 박테리아국 대사: 카터 데 헤이븐[75]
  • 유대인 이발소 손님: 체스터 콘클린
  • 총통 부속 이발사: 레오 화이트
  • 돌격대원: 행크 만, 팻 플래허티/팻 플래허티 (배우)영어
  • 페인트를 뒤집어 써 하얗게 된 돌격대원: 에디 던/에디 던 (배우)영어
  • 힌켈의 비서: 플로렌스 라이트, 니타 파이크, 에델레다 레오폴드/에델레다 레오폴드영어
  • 소형 낙하산 개발자: 시그 아르노/시그 아르노영어
  • 유대인 과일 가게: 해리 시멜스/해리 시멜스영어
  • 조각가: 지노 콜라도/지노 콜라도영어
  • 아기: 프란체스카 산토로
  • 민머리 이발소 손님: 토르벤 메이어/토르벤 메이어영어
  • 침대에 앉아 있는 남자: 윌리엄 어빙/윌리엄 어빙 (배우)영어
  • 연회 집사: 찰스 어윈
  • 감옥의 경비병: 리처드 알렉산더/리처드 알렉산더 (배우)영어
  • 장거리 포병 포술 장교:: 레이랜드 호지슨/레이랜드 호지슨영어
  • 토메니아군 병사: 타이니 샌드포드/타이니 샌드포드영어
  • 인터내셔널 프레스 기자: 돈 브로디/돈 브로디영어
  • 오스트리치에서의 토메니아군 사령관:: 루돌프 안더스/루돌프 안더스영어
  • 의사: 브랜든 비치
  • 병원장:: 존 데이비슨/존 데이비슨 (배우)영어
  • 통역 (목소리만): 윌러 드라이든

채플린과 고다드는 전작 『모던 타임스』에서도 함께 출연했으며, 사적으로도 파트너였다.


thumb와 후발 주자인 히틀러가 모델]]

4. 1. 게토 사람들

유대인 이발사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가 기억상실증에 걸려 병원에서 여러 해를 보낸다.[124] 퇴원 후, 자신이 운영하던 이발소로 돌아온 이발사는 이웃 아가씨 한나와 전우였던 슐츠 사령관의 도움으로 돌격대의 위협에서 벗어난다.[75] 슐츠와의 대화를 통해 기억을 되찾은 이발사는 이웃 제이클씨의 도움으로 이발소를 다시 연다.

찰리 채플린은 1인 2역을 맡아 유대인 이발사와 토메니아의 독재자 힌켈을 연기했다.[75] 폴렛 고더드는 이발사의 이웃이자 그를 지지하는 한나 역을 맡았다.[75] 모리스 모스코비치는 한나의 친구이자 이발소의 세입자인 제켈 씨 역을,[75] 엠마 던은 제켈 부인 역을 연기했다.[75] 이 외에도 버나드 고레이는 만 씨 역을, 폴 바이겔은 아가 씨 역을 맡았다.[75]

채플린의 초기 떠돌이 캐릭터와 이발사의 관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많은 비평가들은 이발사를 떠돌이의 변형으로 본다.[42][43] 채플린 자신도 자서전에서 이발사를 리틀 트램프라고 언급하며 연관성을 인정했다.[43] 그러나 로저 이버트는 채플린이 기술적으로 떠돌이를 연기한 것은 아니라고 평했다.[44]

4. 2. 궁궐 사람들


  • 아데노이드 힌켈: 토메니아의 독재자(찰스 채플린 분)로 아돌프 히틀러나치 독일의 ''Führer''를 패러디했다. 힌켈은 유대인을 공격하고 슐츠를 체포하며, 유대인 이발사를 사냥하게 한다. 힌켈은 나중에 숲에서 병사들에게 체포되는데, 그들은 그를 유대인 이발사로 착각한다.
  • 벤지노 나폴리니: 박테리아의 독재자(잭 오키 분)로 베니토 무솔리니이탈리아 왕국의 Il Duce를 패러디했다. 프랑스 제1공화국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언급한다.
  • 슐츠 사령관: 레지날드 가디너가 연기한 슐츠 사령관[75]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토마니아인으로, 1930년대에 병사들을 지휘한다. 그는 자신의 부대에게 유대인 공격을 자제하게 하지만, 힌켈에 의해 체포된 후 이발사의 충실한 동맹자가 된다. 슐츠는 오스터리히 침공을 이끌고 이발사가 힌켈인 척하며 오스터리히를 구출하도록 돕는다.
  • 가비치: 헨리 다니엘이 연기한 가비치[75]는 요제프 괴벨스를 패러디한 인물로, 힌켈의 충실하고 냉철한 내무부 장관이자 선전부 장관이다.
  • 헤링: 빌리 길버트가 연기한 헤링[75]은 헤르만 괴링을 패러디한 인물로, হিন켈의 전쟁부 장관이다. 헤링은 새로 개발된 무기 시연을 감독하지만 실패하여 힌켈을 짜증나게 한다.
  • 마담 나폴리니: 그레이스 헤일이 연기한 마담 나폴리니[75]는 벤지노의 아내로, 힌켈과 춤을 춘다. 이탈리아에서는 2002년까지 라켈레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그녀와 관련된 모든 장면이 삭제되었다.
  • 스푸크: 카터 드헤이븐이 연기한 스푸크[75]는 박테리아 대사이다.

5. 제작 과정

레니 리펜슈탈의 나치 선전 영화 제작자 전기 작가 위르겐 트림본에 따르면, 찰리 채플린과 프랑스 영화 제작자 르네 클레르는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열린 상영회에서 리펜슈탈의 ''의지의 승리''를 함께 관람했다. 영화 제작자 루이스 부뉴엘은 클레르가 영화의 힘에 경악하여, 이 영화를 절대 상영해서는 안 되며, 그렇지 않으면 서방 세계가 멸망할 것이라고 외쳤다고 보고했다. 반면 채플린은 이 영화를 보고 크게 웃었다. 그는 이 영화를 사용하여 ''위대한 독재자''의 많은 요소에 영감을 받았고, 이 영화를 반복적으로 보면서 히틀러의 몸짓을 면밀히 따라 할 수 있었다.[9]

트림본은 채플린이 리펜슈탈의 영화를 본 후 ''위대한 독재자'' 제작을 결정했다고 제안한다.[10] 영화 초반에 나오는 힌켈의 연설은 독일어처럼 들리는 지껄임으로, 채플린이 뉴스릴에서 신중하게 연구한 히틀러의 연설 스타일의 풍자이다.[11]

이 영화는 채플린이 감독(반 형제 위럴 드라이든이 조감독)하고, 채플린이 각본을 쓰고 제작했다. 이 영화는 주로 찰리 채플린 스튜디오와 로스앤젤레스 주변의 다른 장소에서 촬영되었다.[12] 정교한 제1차 세계 대전 장면은 로럴 캐니언에서 촬영되었다. 채플린과 메레디스 윌슨이 음악을 작곡했다. 촬영은 1939년 9월(우연히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을 촉발한 직후)에 시작되어 6개월 후에 완료되었다.

채플린은 1930년대 후반, 그의 유럽 유대인 친구들과 동료 예술가들을 통해 개인적으로 전달받은 나치의 유대인에 대한 폭력과 억압의 증가에 대해 다루고 싶어했다. 당시 나치 독일의 억압적인 성격과 군국주의적 경향은 잘 알려져 있었다. 에른스트 루비치의 1942년작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거나''는 비슷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실수로 정체를 바꾼 히틀러 캐릭터를 사용했다. 그러나 채플린은 나치의 범죄의 진정한 규모를 알았다면 이 영화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나중에 말했다.[13] 홀로코스트의 공포가 알려진 후, 영화 제작자들은 그 시대를 풍자할 올바른 각도와 어조를 찾기 위해 거의 20년 동안 고군분투했다.[14]

히틀러와 그의 나치당이 두각을 나타내던 시기에, 채플린은 국제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었다. 그는 1931년 베를린 여행에서 팬들에게 둘러싸였고, 이는 나치들을 짜증나게 했다. 그들은 그의 코미디 스타일을 싫어하여, 코미디언을 "혐오스러운 유대인 곡예사"라고 묘사하는 책 ''유대인들이 당신을 보고 있다''(1934)를 출판했다(채플린은 유대인이 아니었다). 채플린의 절친한 친구인 아이버 몬태규는 채플린에게 그 책을 보냈으며, 채플린이 ''독재자''를 만들기로 결심한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항상 믿었다.[15]

1930년대에 만화가와 코미디언들은 종종 히틀러와 채플린이 비슷한 콧수염을 하고 있다는 점을 활용했다. 채플린 역시 이 유사성을 이용하여 그의 리틀 트램프 캐릭터에게 "휴식"을 주었다.[16]

채플린의 아들 찰스 채플린 주니어는 회고록 ''나의 아버지, 찰리 채플린''에서 아버지와 히틀러의 배경이 비슷하여 아버지가 괴로워했다고 묘사했다. 그들은 1889년 4월에 4일 간격으로 태어났으며, 둘 다 가난에서 현재의 지위에 올랐다. 그는 이렇게 썼다.

> 그들의 운명은 정반대였다. 한 사람은 수백만 명을 울게 만들고, 다른 사람은 온 세상을 웃게 만들었다. 아버지는 히틀러를 생각할 때마다 공포와 매혹이 반반씩 섞인 전율을 느꼈다. "생각해 봐," 그는 불안하게 말하곤 했다. "그는 미치광이, 나는 코미디언이야. 하지만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었어."[17]

채플린은 1938년과 1939년 내내 이야기를 준비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지 6일 후인 1939년 9월에 촬영을 시작했다. 그는 거의 6개월 후에 촬영을 마쳤다. 2002년 이 영화 제작에 관한 TV 다큐멘터리 ''방랑자와 독재자''[18]는 프랑스 몰락 전에 촬영된(채플린의 형 시드니이 촬영) 영화의 엔딩에 대한 채플린의 초기 시도를 보여주는, 새롭게 발견된 영화 제작 장면을 공개했다.[13]

''방랑자와 독재자''에 따르면, 채플린은 영화를 히틀러에게 보내도록 했고, 한 목격자가 그것을 보았다고 확인했다.[13] 히틀러의 건축가이자 친구인 알베르트 슈페어는 지도자가 그 영화를 본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19] 히틀러의 영화에 대한 반응은 기록되지 않았지만, 다른 설명에 따르면 그는 그 영화를 두 번 보았다고 한다.[20]

영화 속 게토의 상점 창문에 있는 일부 표지판은 에스페란토로 쓰여 있는데, 히틀러는 이를 반민족주의적인 유대인 음모로 규정하여 독일 문화를 파괴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국제어였고, 그 창시자가 폴란드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21]

원래 채플린은 《모던 타임스》의 차기작으로 여자 밀항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폴레트 고다드 주연, 1967년 제작된 《백작 부인》의 원안이 됨)와, 이어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를 구상했다. 후자에서는 나폴레옹이 그림자 암살범과 바뀌어 세인트헬레나 섬을 탈출하여 평범한 교사 나폴레옹이 되어 혁명에 참가하지만, 섬에 남겨진 가짜가 죽고 마지막은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현대에 맞춰 나폴레옹을 히틀러로 바꾸어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물론 이 영화의 아이디어는 《》와 히틀러의 캐릭터 간 유사성에서 발전한 것이다. 유대인 친구와 동료들에게서 들은, 1930년대를 통해 격화되는 독일의 유대인 박해도 동기가 되었다. 최종적으로 제작을 결정한 것은 알렉산더 코르다의 제안을 받아들인 후였다. 채플린은 그 제안을 부르스크와 판토마임을 양립시킬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했다[77]

채플린은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이 영화의 각본, 감독을 맡았다. 1938년부터 1939년에 걸쳐 스토리를 제작했고, 1939년 9월 1일에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시작, 조국인 영국도 참전한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2주 후부터 촬영을 시작했다. 채플린 스튜디오 외에도 로렐 캐니언 등 로스앤젤레스 근교 각지에서 촬영되었다. 유대인 거리 장면을 2개월 정도 걸려 촬영을 마친 후 독재자 장면 촬영에 들어갔다. 독재자 의상을 입으면 바로 역할에 몰입하여 거친 말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벤치노 나파로니 역을 맡은 잭 오키는 영화 제작 당시 다이어트 중이었지만 채플린은 오키가 더 뚱뚱한 체격이 되기를 바라며 점심 식사에 초대해 푸짐한 요리를 눈 앞에서 먹어 보이기도 했다. 오키는 저항했지만 결국 요리를 먹고 뚱뚱해졌다고 한다[78]

음악에 관해서는 채플린은 《시티 라이트》 이후 스스로 작곡했지만, 이번에는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다시 찍는 일도 있어서 시간적으로 작곡할 시간이 없어(크랭크업 후 충분한 시간을 들여 작곡과 편집에 집중하는 것이 채플린의 패턴이었다), 작곡의 대부분은 메레디스 윌슨에게 위임되었다. 그러나 윌슨은 채플린의 작곡에 대한 기여는 단순히 곡을 흥얼거리고, 편곡자에게 작곡을 맡기는 것 이상이었다는 점을 밝히며, "찰리 채플린만큼 완벽이라는 이상에 완전히 몸을 바친 사람은 만난 적이 없다... 그의 디테일에 대한 집착, 그가 원하는 무드를 표현하기 위한 정확한 악절이나 템포에 대한 그의 감각에는 항상 놀라웠다"라고 말했다[79]

독일군 점령하의 파리를 걷는 히틀러


채플린이 히틀러를 소재로 영화를 제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안팎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일부 채플린 평론에서는 《살인광 시대》가 미국 추방의 원인이라고 논평하는 것도 있지만 채플린에 대한 정치적 반발은 《모던 타임스》 무렵, 더 거슬러 올라가면 제1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 있었고, 또한 이상에서 언급한 것처럼 최대 수익을 올린 《독재자》에 대해서도 정치적 압력과 반발이 있었다.

히틀러는 1939년 1월 국회 연설에서 "반 나치 즉, 반 독일 영화의 제작을 기획하고 있다는 미국 영화 회사의 성명은 독일에서 반 유대인 영화의 제작을 유발할 뿐이다"라고 비판했다[80]。 독일에 대해 유화 정책을 취하고 있던 영국에서도 압력이 있어, 영국 외무성에서 파견된 직원이 채플린에게 각본 제출을 요구했지만 채플린은 이를 거절했다. 촬영을 종료한 6개월 후에는 프랑스 제3공화국이 독일군에 의해 함락되고 (1940년 6월 파리 무혈 개성, 휴전 성립), 이어서 영국으로의 독일군 상륙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다. 제작 중에 일어난 유럽에서의 전쟁이, 찬반 양론을 낳았던 마지막 연설을 삽입하는 동기가 되었다.

당초 안에서는 《독재자》의 마지막은 전쟁이 끝나고 유대인과 병사가 손을 잡고 춤을 추고, 또한 중화민국과 전쟁을 하고 있던 일본도 폭탄 대신 장난감을 떨어뜨리고, 전쟁을 끝낸다는 설정이었다. 그러나 채플린은 이것으로는 독재자에 대한 분노를 표현할 수 없다고 하여 대본을 바꾸어 마지막 6분간의 연설 장면이 되었다. 이 연설에 대해서는 스탭들로부터 반대의 목소리가 강했다. 영업 담당자는 "이 연설로 매출이 100만 달러 줄어든다, 그만둬 달라"고 했고, 채플린은 "500만 달러가 줄어도 하겠다"고 하며 촬영을 강행했다(촬영은 히틀러의 파리 입성 다음 날이 되었다).

영화는 1940년 7월에 촬영이 완료되었다[81]。 사용 필름은 완성본의 41배에 달했다 (완성에 이르기까지 채택되지 않은 몇몇 장면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힌켈이 맥주 홀에서 가비치와 헤링을 앞에 두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개하는, 도청 장치를 사용하여 가비치와 둘이서 가솔리니(나파로니의 초기 이름 중 하나) 부부의 대화를 도청하는, 헤링이 가져온 발명품 중 하나인 비행선을 몸에 걸치고 좋아하며 날뛰는, 6살짜리 스파이 노구치가 아기로 변장하여 가솔리니의 군대를 스파이하고 힌켈에게 보고하는, 등의 장면이다[82]

채플린은 후년에 자서전에서 "홀로코스트의 존재는 당시에는 알지 못했고, 만약 홀로코스트의 존재 등 나치즘의 본질적인 공포를 알았다면 독재자 영화는 만들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또한 영화 촬영 당시에는 독일의 유대인에 대한 박해 정책과 게토로의 강제 이송은 독일 국내와 독일군의 점령지에서 실시되었지만 유대인에 대한 대량 학살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홀로코스트라는 상황 속에서 유머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로베르토 베니니의 《인생은 아름다워》까지 반세기의 동안은 찾아볼 수 없다.

5. 1. 기획 및 각본

찰리 채플린은 1930년대 후반부터 히틀러와 나치즘을 풍자하는 영화를 구상했다.[15] 유럽의 유대인 친구들로부터 나치의 만행에 대한 소식을 접하고 영화 제작을 결심하게 되었다.[13] 채플린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영화의 각본을 집필했다.[77]

채플린은 레니 리펜슈탈의 ''의지의 승리''를 보고 ''위대한 독재자'' 제작을 결심했다고 전해진다.[9][10] 그는 이 영화를 반복적으로 보면서 히틀러의 몸짓을 면밀히 따라 할 수 있었고,[9] 영화 초반 힌켈의 연설은 독일어처럼 들리는 지껄임으로, 채플린이 뉴스릴에서 신중하게 연구한 히틀러 연설 스타일의 풍자이다.[11]

찰스 채플린 주니어의 회고록 ''나의 아버지, 찰리 채플린''에 따르면, 채플린과 히틀러는 1889년 4월에 4일 간격으로 태어났고, 둘 다 가난에서 현재의 지위에 올랐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채플린은 히틀러를 생각할 때마다 공포와 매혹이 반반씩 섞인 전율을 느꼈다고 한다.[17]

영화는 채플린이 감독(반 형제 위럴 드라이든이 조감독), 각본, 제작을 맡았다.[12] 촬영은 1939년 9월 1일 독일군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직후 시작되어 6개월 후에 완료되었다.[12] 정교한 제1차 세계 대전 장면은 로럴 캐니언에서 촬영되었다.[12] 채플린과 메레디스 윌슨이 음악을 작곡했다.[12]

채플린이 히틀러를 소재로 영화를 제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안팎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80] 히틀러는 1939년 1월 국회 연설에서 "반 나치 즉, 반 독일 영화의 제작을 기획하고 있다는 미국 영화 회사의 성명은 독일에서 반 유대인 영화의 제작을 유발할 뿐이다"라고 비판했다.[80] 유화 정책을 취하고 있던 영국에서도 압력이 있었지만, 채플린은 각본 제출 요구를 거절했다.

당초 영화의 마지막은 전쟁이 끝나고 유대인과 병사가 손을 잡고 춤을 추는 설정이었지만, 채플린은 독재자에 대한 분노를 표현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마지막 6분간의 연설 장면으로 변경했다. 이 연설에 대해 스태프들의 반대가 있었지만, 채플린은 촬영을 강행했다. 영화는 1940년 7월에 촬영이 완료되었다.[81]

채플린은 훗날 자서전에서 홀로코스트의 존재를 당시에는 알지 못했고, 만약 알았다면 영화를 만들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13][14]

5. 2. 촬영

찰리 채플린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영화의 스토리를 구상했으며,[12] 1939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촬영을 시작했다.[12] 촬영은 찰리 채플린 스튜디오와 로럴 캐니언 등 로스앤젤레스 주변 지역에서 진행되었다.[12] 제1차 세계 대전 장면은 로럴 캐니언에서 촬영되었다.[12]

채플린은 레니 리펜슈탈의 ''의지의 승리''를 보고 히틀러의 몸짓을 연구하여 영화에 반영했다.[9][10] 힌켈의 연설 장면은 히틀러의 연설 스타일을 풍자한 것이다.[11]

채플린은 유럽의 유대인 친구들로부터 나치의 유대인 박해에 대한 소식을 듣고 영화 제작을 결심했다.[15] 아이버 몬태규는 채플린에게 나치의 선전 책자를 보냈고, 이것이 채플린이 《독재자》를 만들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믿었다.[15] 채플린은 히틀러와 자신의 외모 유사성을 이용하여 리틀 트램프 캐릭터를 활용했다.[16] 찰스 채플린 주니어는 그의 아버지(찰리 채플린)가 히틀러와의 기묘한 유사성에 대해 언급하며, "그는 미치광이, 나는 코미디언이야. 하지만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었어."라고 말했다고 회고했다.[17]

영화 속 게토의 상점 창문에 있는 일부 표지판은 에스페란토로 쓰여 있었다.[21]

메레디스 윌슨이 음악 작곡에 참여했다.[12] 촬영은 약 6개월 동안 진행되어 1940년 초에 완료되었다.[12] 2002년 다큐멘터리 ''방랑자와 독재자''에서는 채플린의 초기 영화 제작 장면이 공개되었다.[18][13]

채플린은 영화를 히틀러에게 보냈고, 목격자는 히틀러가 영화를 보았다고 증언했다.[13] 그러나 알베르트 슈페어는 이를 부인했다.[19] 다른 설명에 따르면 히틀러는 영화를 두 번 보았다고 한다.[20]

채플린은 나중에 홀로코스트의 실상을 알았다면 영화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13][14]

5. 3. 음악

영화 음악은 1957년 뮤지컬 코미디 ''더 뮤직 맨''의 작곡가이자 작사가로 알려진 메러디스 윌슨이 작곡했다.[22] 윌슨은 채플린의 음악적 기여에 대해 "찰리 채플린만큼 완벽이라는 이상에 완전히 몸을 바친 사람은 만난 적이 없다... 그의 디테일에 대한 집착, 그가 원하는 무드를 표현하기 위한 정확한 악절이나 템포에 대한 그의 감각에는 항상 놀라웠다"라고 회고했다.[79]

채플린은 《시티 라이트》 이후 스스로 음악을 작곡했지만, 《위대한 독재자》에서는 재촬영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없어 대부분의 작곡을 윌슨에게 위임했다. 그럼에도 채플린은 음악 작곡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특히 윌슨은 채플린이 사운드트랙을 가져다가 잘라내고 다시 붙여서 작곡가가 생각하지 못할 기상천외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하며, 로엔그린 "전주곡"을 사용한 풍선 춤 장면과 같은 최고의 아이디어는 모두 채플린에게서 나왔다고 밝혔다.[22]

채플린의 지구본 장면


윌슨에 따르면, 채플린이 고객의 수염을 깎는 장면은 ''브람스 헝가리 무곡'' 5번을 배경으로 촬영되었으며, 윌슨은 이를 스튜디오 오케스트라로 재녹음하여 음악을 액션에 맞추는 작업을 맡았다. 채플린은 리허설을 녹음해두었다가 사용 가능한 부분이 있으면 사용하려 했는데, 윌슨은 "얼떨결에 모든 움직임을 포착했고, 그것이 그 장면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테이크'였으며, 완성된 영화에서 사용된 장면이었다"고 회고했다.[22]

제임스 L. 네이바는 채플린과 히틀러의 유사점 중 하나로 바그너 음악에 대한 친근감을 지적했다.[23] 채플린의 바그너에 대한 높은 평가는 그의 영화 음악 사용에 대한 연구에서 언급되었으며,[24] 많은 평론가들은 힌켈이 지구본 풍선과 춤을 출 때 채플린이 바그너의 ''로엔그린'' 전주곡을 사용한 점을 지적했다.[25][26] 채플린은 망명한 한나가 유대인 이발사의 민주주의와 자유를 찬양하는 연설을 들을 때 ''로엔그린'' 전주곡을 다시 사용하여 독재자의 춤 동안 중단되었던 음악을 이발사의 연설에서 절정에 달하게 하고 완성시킨다.[27]

루츠 페터 코프닉은 채플린의 ''로엔그린'' 이중 사용이 나치 문화와 할리우드 엔터테인먼트의 불안정한 결합을 보여준다고 분석하며, 채플린은 바그너를 총체적인 예술 작품 정신에서 파시즘의 탄생과 대중 문화의 기원을 모두 나타내는 기호로 이해한다고 보았다. 코프닉은 채플린이 관객들이 유토피아적 욕망을 공유하지만 근본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두 가지 바그너주의를 구분하기를 원했으며, 할리우드가 파시즘에서 환상의 사용을 비난하고 산업 문화에서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보증하기 위해 바그너를 필요로 한다고 제안한다고 해석했다.[28]

5. 4. 힌켈의 연설 장면

5. 5. 지구본 댄스 장면

5. 6. 이발소 장면

5. 7. 마지막 연설 장면

이발사가 힌켈로 오인받아 연설하는 장면은 영화의 클라이맥스이자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부분이다. 독재와 전쟁을 비판하고, 평화, 민주주의, 인간애를 역설하는 연설은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힌켈과 이발사가 우연히도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힌켈은 이발사로 오해받아 돌격대에 체포당하고, 이발사는 힌켈로 오해받아 군대의 호위를 받으며 오스테를리히 정복에 나선다. 이발사는 오스테를리히를 정복한 토매니아의 장병 앞에서 평소의 힌켈의 연설과는 판이하게 다른 반(反)독재, 평화, 민주주의에 대한 연설을 한다.

이 영화의 연설 장면은 이 영화 최고의 장면으로 알려져 있다. 연설에서 이발사는 "미안합니다. 나는 황제가 되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며, "가능하다면 모든 사람을 돕고 싶습니다."라고 연설을 이어나간다. 또한 "탐욕이 인간의 영혼을 중독시키고 세계를 증오의 장벽으로 가로막았는가 하면 불행과 죽음을 가져다 주었습니다."라고 말하며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계보다는 인권이 중요하고 지식보다는 친절과 관용이 우선이어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인간성의 회복을 호소한다.

이발사는 군인들에게 "그대를 경멸하고 깔보고 그대들의 모든 삶을 통제하고 짐승처럼 다루고 조련하여 전쟁에 쓰는 저 자들에게 복속하지 마시오."라고 말하며, "여러분은 힘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기계도 만들 수 있고 행복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 힘으로 민주주의 아래 하나가 됩시다."라고 독재에 맞서 싸울 것을 호소한다. 마지막으로 "모두에게 일을 할 기회를, 젊은이들에게 새 미래를, 노인에게 복지 시설을 나눠줍시다."라고 약속하며 연설을 마무리한다.

6. 평가 및 영향

《위대한 독재자》는 개봉과 동시에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 "《위대한 독재자》는 역대 최고의 영화는 아닐지라도, 진정한 예술가에 의한 훌륭한 업적이며, 어떤 관점에서는 지금까지 제작된 영화 중 가장 중요한 영화일지도 모른다"고 극찬했다[86]

희극 영화로서는, 개그의 풍부함이 지적되고 있다

'''수상 후보'''


'''수상'''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찰스 채플린)


'''순위'''

  • 2000년 「코미디 영화 100선」(AFI 발표) 37위
  • 2008년 「역대 최고의 영화 100선」(프랑스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 발표) 24위[87]
  • 2017년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선」(영국 BBC 발표) 16위[88]
  • 2018년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선」(미국 잡지 《페이스트》 발표) 22위[89]
  • 2022년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선」(영국 잡지 《타임 아웃》 발표) 76위[90]


다음은 일본에서의 순위이다.

  • 1960년 제34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외국 영화」(키네마 준보 발표) 1위[84]
  • 1988년 「대 앙케이트에 의한 외화 베스트 150」(분게이슌주 발표) 24위
  • 1995년 「올 타임 베스트 텐·세계 영화편」(키네마 준보 발표) 18위
  • 1999년 「영화인이 선택한 올 타임 베스트·외국 영화편(키네준 창간 80주년 기념)」(키네준 발표) 28위


그 외, 개인 순위에서는 영화 감독 장 뤽 고다르가 1963년에 가장 좋아하는 미국 영화 베스트 10의 2위에 이 작품을 랭크했다[91]

채플린의 영화는 할리우드가 히틀러를 처음 패러디한 작품인 쓰리 스투지스의 단편 영화 ''너 나치 스파이!''(1940년 1월 개봉)에서 9개월 후에 개봉되었다.[29] 채플린은 수년간 장편 영화를 기획했으며 1939년 9월에 촬영을 시작했다. 히틀러는 이전에 프리츠 랑의 1933년 독일 영화 ''마부제 박사의 유언''에서 풍자적으로 비판받았다.[30]

이 영화는 개봉 당시 미국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고 미국 대중에게 인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우더는 이 영화를 "진정으로 위대한 예술가의 훌륭한 업적"이자 "아마도 지금까지 제작된 가장 중요한 영화"라고 불렀다.[31] 이 영화는 채플린이 전쟁 시기의 관객들이 독재자에 대한 코미디를 싫어할 것이라고 우려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에서도 인기가 있었고, 9백만 명이 영화관을 찾았다.[32] 이 영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흥행 수익으로 350만 달러,[33] 전 세계적으로 총 5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3]

이 영화는 나치 동조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던 여러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상영 금지되었다.[34]

영화 제작 당시, 영국 정부나치 독일에 관한 유화 정책에 따라 영국에서의 상영을 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영화가 개봉될 무렵에는 영국이 독일과 전쟁 중이었고, 이 영화는 분명한 선전적 가치로 인해 환영받았다. 1941년, 런던의 웨일스 공 극장에서 영국 초연이 이루어졌다. 이 영화는 유럽 여러 지역에서 상영이 금지되었고, 극장주인 알프레드 에스데일은 상영한 혐의로 벌금을 냈다고 한다.[35]

1945년 프랑스에서 개봉되었을 때, 이 영화는 연간 가장 인기 있는 영화가 되었고, 8,280,553명의 관객을 동원했다.[36]

채플린의 전기 작가 제프리 밴스는 그의 저서 ''채플린: 영화의 천재''에서 이 영화에 대한 장문의 고찰을 마무리하면서, 이 영화가 위대한 영화 풍자극들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주장한다. 밴스는 "채플린의 ''위대한 독재자''는 코미디, 정치, 풍자를 훌륭하게 통합한 작품으로 남아 있다. 이는 채플린의 가장 의식적인 정치적 작품이자 영화 역사상 최초의 중요한 풍자극으로 자리매김했다."라고 썼다.[40]

밴스는 또한 독일에서 망명한 한 사람이 과거 나치 문화부 영화 부서에서 일하다가 탈출하기로 결심했는데, 그가 채플린에게 히틀러가 이 영화를 두 번이나 혼자서 봤다고 말했다고 전한다. 채플린은 "그가 이 영화에 대해 무슨 생각을 했는지 알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고 답했다.[41]

예고편


이 영화의 제작은 세계 상황의 긴장과 궤를 같이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채플린은 마지막 장면을 재고했지만, 그 과정에서 촬영이 일시 중단되었을 때 언론에서는 "전황 악화에 두려움을 느낀 채플린이 '독재자' 촬영을 포기했다"는 억측이 흘러나왔다 . '독재자'뿐만 아니라, 'The Mortal Storm'과 'Four Sons'(둘 다 일본 미공개)과 같은 다른 반파시즘 영화는 미국과 독일이 미묘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출시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그런 가운데 채플린은 재정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다른 스튜디오에서 독립했기 때문에 대대적으로 작품 제작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독재자'가 출시 불가능하게 되면 150만 달러를 개인 자산에서 투자한 채플린은 파산한다는 상황이기도 했다.

결국 '독재자'는 1940년 10월 뉴욕에서 개봉되었고, 10월부터 차례로 미국 국내에서 확대 공개되었으며[83], 11월에는 영국에서 공개되었다. 파리 해방 직후인 1945년 4월에는 프랑스에서도 공개되었다.

마지막 6분간의 연설에 대해 미국 등 우익 세력은 "공산주의자의 음모"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한, 1929년의 세계 대공황으로 흑인과 유대인을 박해하는 KKK을 중심으로 한 우익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대두했기 때문에, 그 점도 '독재자'에 대한 반발을 촉진하게 되었다.

미국과 독일은 아직 개전하지 않았지만 (독일이 미국과 개전하는 것은 1941년 12월이 되어서이다), 영화 내용상 당사국인 독일은 물론, 폴란드와 오스트리아 등 독일의 점령 하, 영향 하에 있는 지역, 독일과 동맹 관계에 있던 일본과 이탈리아, 또한 아르헨티나와 칠레 등, 독일계 이민이 많아 친독 정권이 많았던 남아메리카 제국과 중립 정책을 취하고 있던 아일랜드에서는 상영 금지되었다 다카미 준은 1941년 12월에 자바 섬에서, 고바야시 게이주는 육군 병사로서 영국이 식민지 지배하고 있던 싱가포르에 주둔했을 때, 영국군으로부터 압수된 물품 속에 '독재자'의 필름이 있었고, 그것을 보았다고 한다.

일본 첫 공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으로부터 15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로부터 8년 후인 1960년이었다. 그러나 일본에서도 히트하여 흥행 수입은 1억 6800만 엔을 기록, 이 해의 흥행 수입 4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의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에서는 외국 영화 1위에 랭크되었다[84] 1973년 10월에 재개봉[85]

《위대한 독재자》는 스탠리 큐브릭, 멜 브룩스, 웨스 앤더슨, 척 존스 등 수많은 감독들에게 영향을 미쳤다.[64] 또한 《딕테이터》(2012), 《인터뷰》(2014), 《조조 래빗》(2019)과 같은 영화에 영감을 주어 독재자를 풍자하는 영화들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64]

숀 맥아들(Sean McArdle)과 존 주디(Jon Judy)의 아이스너상 후보에 오른 만화책 ''더 퓌러 앤 더 트램프''는 ''위대한 독재자'' 제작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64] 영화의 마지막 연설은 40곡 이상의 노래에서 샘플링되었으며,[65] 콜드플레이U2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라이브 쇼에서 이 연설을 사용했고,[66] 커피 회사 라바짜(Lavazza)는 텔레비전 광고에 이 연설을 사용했다.[67]

고르바초프의 소련 페레스트로이카 (1980년대 후반, 1991년 소련과 공산주의의 몰락으로 종결) 기간 동안, 조지아 팀에 의해 제작된 영화 ''참회''는 ''위대한 독재자''를 거의 그대로 모델로 하여, 강력한 반 스탈린주의 편향을 보였다. 독재자 주인공 "바토노 바를람"(조지아어: "동지 바를람")은 스탈린 말기의 악명 높은 국가 안보 장관 라브렌티 베리야와 얼굴이 유사하도록 선택되었다.

  • ''위대한 독재자'' - Nikolaj Cederholmda 감독의 연극 작품[107]
  • ''위대한 독재자'' - 스테이지 비욘드 극단(Stage Beyond Theatre Company)의 연극 작품. 2022년 6월 15일, 북아일랜드의 Millennium Forum영어에서 초연[108]
  • ''위대한 독재자'' - 말콤 갈레아 (Malcolm Galea) 연출의 연극 작품. 2024년 7월 5일, 몰타의 발레타 캠퍼스 극장(Valletta Campus Theatre)에서 초연[109]
  • ''DIKTATORN -'' Sara Cronbergsv 연출의 연극 작품[110]。2024년 9월 21일 초연[111][112]
  • 몰락 (2004년,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의 올리버 히르쉬비겔 감독과 주연(히틀러 역)의 브루노 간츠는 지금까지 제작된 히틀러 관련 영화 중 인상 깊었던 작품으로 『위대한 독재자』를 언급했다.[113]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재임 2019년 - )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계속되던 2022년 5월 제75회 칸 영화제 개막식에 온라인 중계로 메시지를 보냈고, 그 안에서 『위대한 독재자』를 언급하며 "전쟁 앞에서 영화가 침묵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채플린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114]


1960년 한국에서 개봉된 《위대한 독재자》는 4.19 혁명 직후 민주화 열기가 고조되던 시기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화 속 독재자 힌켈의 모습은 당시 이승만 대통령과 자유당 정권을 연상시키며, 민주주의와 자유의 가치를 되새기게 했다.

6. 1. 개봉 당시의 반응

《위대한 독재자》는 1940년 10월 뉴욕에서 개봉된 후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83]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를 "진정으로 위대한 예술가의 훌륭한 업적"이자 "아마도 지금까지 제작된 가장 중요한 영화"라고 불렀다.[31] 미국과 캐나다에서 350만 달러,[33] 전 세계적으로 총 500만 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렸다.[3]

영국에서도 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9백만 명이 영화를 관람하며 인기를 얻었다.[32] 영국 정부는 나치 독일에 관한 유화 정책에 따라 상영을 금지하려 했으나, 영화가 개봉될 무렵에는 영국이 독일과 전쟁 중이었고, 이 영화는 선전적 가치로 인해 환영받았다.[35]

그러나 나치 동조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던 아르헨티나, 칠레 등 여러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34] 194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는 스페인어로 영화 제목이 적힌 자전거 광고가 등장하기도 했다.

194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스페인어로 영화 제목이 적힌 자전거 광고, ''El gran dictador'',


1945년 프랑스에서 개봉되었을 때, 이 영화는 연간 가장 인기 있는 영화가 되었고, 8,280,553명의 관객을 동원했다.[36]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5년 후인 1960년에 처음 공개되어 흥행에 성공했다.[84]

이 영화는 여러 영화 목록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2008년 프랑스의 저명한 잡지 ''영화 노트''에서 선정한 "100대 영화" 목록에서 24위에 올랐고,[37] 2010년, ''가디언''은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중 22위로 평가했다.[38] 2017년 BBC가 52개국 253명의 영화 평론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투표에서는 "역대 최고의 코미디 100편" 목록에서 16위에 올랐다.[39]

6. 2. 비평적 평가

《위대한 독재자》는 채플린의 대표작이자 영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1] 특히 히틀러와 파시즘을 풍자한 점, 유성 영화 시대에 적응한 채플린의 연출력, 마지막 연설 장면의 감동 등이 높이 평가된다.

이 영화는 개봉 당시 미국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우더는 "진정으로 위대한 예술가의 훌륭한 업적"이자 "아마도 지금까지 제작된 가장 중요한 영화"라고 불렀다.[31] 채플린이 전쟁 시기의 관객들이 독재자에 대한 코미디를 싫어할 것이라고 우려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에서도 인기가 있었고, 9백만 명이 영화관을 찾았다.[32]

영화 제작 당시, 영국 정부나치 독일에 관한 유화 정책에 따라 영국에서의 상영을 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영화가 개봉될 무렵에는 영국이 독일과 전쟁 중이었고, 이 영화는 분명한 선전적 가치로 인해 환영받았다.[35]

제13회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남우주연상(찰스 채플린), 남우조연상(잭 오키), 최우수 각본상(찰스 채플린), 최우수 음악상(메레디스 윌슨) 후보에 올랐다. 채플린은 전미 비평 위원회 상과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 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7년, 《위대한 독재자》는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중요한" 영화로 인정받아 미국 의회 도서관에 의해 미국 국립 영화 보존 등기소에 보존될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2000년, 미국 영화 연구소는 이 영화를 AFI 선정 100대 웃긴 영화 목록에서 37위로 선정했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48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2%의 "신선함" 평점을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90/10이다. 시카고 선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을 주었고, 그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포함시켰다.

채플린의 전기 작가 제프리 밴스는 그의 저서 ''채플린: 영화의 천재''에서 "채플린의 ''위대한 독재자''는 코미디, 정치, 풍자를 훌륭하게 통합한 작품으로 남아 있다. 이는 채플린의 가장 의식적인 정치적 작품이자 영화 역사상 최초의 중요한 풍자극으로 자리매김했다."라고 썼다.[40]

6. 3. 후대에 미친 영향

《위대한 독재자》는 스탠리 큐브릭, 멜 브룩스, 웨스 앤더슨, 척 존스 등 수많은 감독들에게 영향을 미쳤다.[64] 또한 《딕테이터》(2012), 《인터뷰》(2014), 《조조 래빗》(2019)과 같은 영화에 영감을 주어 독재자를 풍자하는 영화들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64]

숀 맥아들(Sean McArdle)과 존 주디(Jon Judy)의 아이스너상 후보에 오른 만화책 ''더 퓌러 앤 더 트램프''는 ''위대한 독재자'' 제작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64] 영화의 마지막 연설은 40곡 이상의 노래에서 샘플링되었으며,[65] 콜드플레이U2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라이브 쇼에서 이 연설을 사용했고,[66] 커피 회사 라바짜(Lavazza)는 텔레비전 광고에 이 연설을 사용했다.[67]

고르바초프의 소련 페레스트로이카 (1980년대 후반, 1991년 소련과 공산주의의 몰락으로 종결) 기간 동안, 조지아 팀에 의해 제작된 영화 ''참회''는 ''위대한 독재자''를 거의 그대로 모델로 하여, 강력한 반 스탈린주의 편향을 보였다. 독재자 주인공 "바토노 바를람"(조지아어: "동지 바를람")은 스탈린 말기의 악명 높은 국가 안보 장관 라브렌티 베리야와 얼굴이 유사하도록 선택되었다.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 "《위대한 독재자》는 역대 최고의 영화는 아닐지라도, 진정한 예술가에 의한 훌륭한 업적이며, 어떤 관점에서는 지금까지 제작된 영화 중 가장 중요한 영화일지도 모른다"고 극찬했다[86]。 희극 영화로서는, 개그의 풍부함이 지적되고 있다.

'''순위'''

  • 2000년 「코미디 영화 100선」(AFI 발표) 37위
  • 2008년 「역대 최고의 영화 100선」(프랑스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 발표) 24위[87]
  • 2017년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선」(영국 BBC 발표) 16위[88]
  • 2018년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선」(미국 잡지 《페이스트》 발표) 22위[89]
  • 2022년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선」(영국 잡지 《타임 아웃》 발표) 76위[90]


다음은 일본에서의 순위이다.

  • 1960년 제34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외국 영화」(키네마 준보 발표) 1위[84]
  • 1988년 「대 앙케이트에 의한 외화 베스트 150」(분게이슌주 발표) 24위
  • 1995년 「올 타임 베스트 텐·세계 영화편」(키네마 준보 발표) 18위
  • 1999년 「영화인이 선택한 올 타임 베스트·외국 영화편(키네준 창간 80주년 기념)」(키네준 발표) 28위


그 외, 개인 순위에서는 영화 감독 장 뤽 고다르가 1963년에 가장 좋아하는 미국 영화 베스트 10의 2위에 이 작품을 랭크했다[91]

  • ''위대한 독재자'' - Nikolaj Cederholmda 감독의 연극 작품[107]
  • ''위대한 독재자'' - 스테이지 비욘드 극단(Stage Beyond Theatre Company)의 연극 작품. 2022년 6월 15일, 북아일랜드의 Millennium Forum영어에서 초연[108]
  • ''위대한 독재자'' - 말콤 갈레아 (Malcolm Galea) 연출의 연극 작품. 2024년 7월 5일, 몰타의 발레타 캠퍼스 극장(Valletta Campus Theatre)에서 초연[109]
  • ''DIKTATORN -'' Sara Cronbergsv 연출의 연극 작품[110]。2024년 9월 21일 초연[111][112]
  • 몰락 (2004년,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의 올리버 히르쉬비겔 감독과 주연(히틀러 역)의 브루노 간츠는 지금까지 제작된 히틀러 관련 영화 중 인상 깊었던 작품으로 『위대한 독재자』를 언급했다.[113]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재임 2019년 - )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계속되던 2022년 5월 제75회 칸 영화제 개막식에 온라인 중계로 메시지를 보냈고, 그 안에서 『위대한 독재자』를 언급하며 "전쟁 앞에서 영화가 침묵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채플린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114]

6. 4.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1960년 한국에서 개봉된 《위대한 독재자》는 4.19 혁명 직후 민주화 열기가 고조되던 시기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화 속 독재자 힌켈의 모습은 당시 이승만 대통령과 자유당 정권을 연상시키며, 민주주의와 자유의 가치를 되새기게 했다.

6. 5. 표절 소송

1947년, 콘라드 베르코비치는 《위대한 독재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절했다며 찰리 채플린을 고소했다.[59] 베르코비치는 채플린이 독재자 역할을 하고 지구본과 춤을 추는 등의 아이디어를 자신이 만들었으며, 채플린이 자신의 5페이지 분량 각본 초안에 대해 자신과 몇 시간 동안 논의했다고 주장했다.[59]

이 소송은 법적 합의로 종결되었으며, 채플린은 베르코비치에게 9만 5천 달러를 지불했다.[61][93][94] 그 대가로 베르코비치는 채플린이 영화의 유일한 저자임을 인정했다.[61] 채플린은 자서전에서 자신이 영화 각본의 유일한 작가라고 주장하며, 당시 미국에서의 인기가 없었고 엄청난 법적 압박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합의에 동의했다고 밝혔다.[62]

한편, 채플린의 전작 《모던 타임즈》는 독일 영화사 토비스 사로부터 두 차례 소송을 당했는데(1937년, 1947년), 채플린 측은 《모던 타임즈》에 대한 두 번째 소송을 《위대한 독재자》에 대한 보복으로 보고 있다.[95]

6. 6. 정치적 논란

7. 뒷이야기

8.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PG)" https://www.bbfc.co.[...] 1940-12-09
[2] 간행물 UA Meeting https://archive.org/[...] 1940-11-20
[3] 서적 From the Battlefront to the Bridal Suite: Media Coverage of British War Brides, 1942-1946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7
[4] 웹사이트 New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December 1997) – Library of Congress Information Bulletin https://www.loc.gov/[...] 2020-06-23
[5] 서적 My Autobiography https://archive.org/[...]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64
[6] 문서 The spelling of the country's name is derived from the numerous local newspapers flashed onscreen between 14 and 15 minutes into the film that indicate the end of World War I, such as ''The Tomainian past'', thus establishing the proper spelling.
[7] 뉴스 The film that dared to laugh at Hitler https://www.bbc.com/[...] BBC Culture 2021-12-31
[8] 백과사전 The Great Dictator http://www.britannic[...] 2013-01-26
[9]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s://www.criterio[...]
[10] 서적 Leni Riefenstahl: A Life https://archive.org/[...] Macmillan
[11] 논문 Anglo-American Anti-fascist Film Propaganda in a Time of Neutrality: ''The Great Dictator'', 1940".
[12] 뉴스 The Interview Has Renewed Interest in Chaplin's The Great Dictator, Which Is a Great Thing https://www.vulture.[...] 2014-12-19
[13] AV media Chaplin and Hitler: The Tramp and the Dictator https://www.bbc.co.u[...] BBC
[14] 웹사이트 Searching for Hitler and His Henchmen: Hitler in the Movies http://schikelgruber[...] 2013-05-04
[15] 간행물 The Tramp and the Dictator https://variety.com/[...] 2002-02-21
[16] 서적 The Comedy of Charlie Chaplin: Artistry in Motion Scarecrow Press
[17]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brattleblog.b[...] 2007-09-14
[18] 문서 Internationally co-produced by four production companies, including BBC, [[Turner Classic Movies]], and Germany's Spiegel TV
[19] 웹사이트 Charlie Chaplins Hitler-Parodie: Führer befiehl, wir lachen! http://www.sueddeuts[...] 2010-05-19
[20] 서적 The Book of Lists 2 William Morrow 1980-02-00
[21] 서적 Mind & Society Fads https://books.google[...] Haworth Press
[22] 서적 And There I Stood With My Piccolo https://archive.org/[...] Doubleday and Company, Inc.
[23] 간행물 The Great Dictator http://www.cineaste.[...]
[24] 문서 Charles Spencer Chaplin http://ragpiano.com/[...] 2013-05-04
[25] 웹사이트 Charlie Chaplin in The Dictator: The Globe Scene using the Prelude to Lohengrin, Act 1 http://www.wagnerope[...] 2013-05-04
[26] 뉴스 Ten Films that Used Wagner's Music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0-06-17
[27] 문서 Modern Times, Modern Places How Life and Art Were Transformed in a Century of Revolution, Innovation and Radical Change Thames & Hudson 1999
[28] 서적 The Dark Mirror: German Cinema between Hitler and Hollywoo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 서적 Fighting the War of Ideas Like a Real War Lulu.com
[30] 서적 From Caligari to Hitler: A Psychological History of the Gertman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뉴스 Still Supreme in 'The Great Dictator,' Charlie Chaplin Reveals Again the Greatness in Himself https://movies2.nyti[...] 1940-10-16
[32] 서적 The Ultimate Film: The UK's 100 most popular films BFI
[33] 서적 The Hollywood reporter book of box office hits http://archive.org/d[...] New York : Billboard Books 1996-12-26
[34] 서적 The Films of Orson Wel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 서적 Theatre Programme, Mama Mia!
[36] 웹사이트 French box office in 1945 http://translate.goo[...]
[37] 웹사이트 Cahiers du cinéma's 100 Greatest Films http://www.filmdetai[...] 2008-11-23
[38] 뉴스 The Great Dictator: No 22 best comedy film of all time https://www.theguard[...] 2018-12-25
[39]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comedies of all time http://www.bbc.com/c[...] 2017-09-08
[40] 서적 Chaplin: Genius of the Cinema. Harry N. Abrams
[41]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s://www.loc.gov/[...] 2024-04-17
[42] 서적 The Films in My Life Da Capo Press
[43]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The Essentials http://www.tcm.com/t[...] Turner Classic Movies 2010-12-31
[44]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1940) [review] https://www.rogerebe[...] 2010-12-31
[45] 서적 Chaplin: A Life https://archive.org/[...] Arcade
[46]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The Chaplin Collection http://www.dvdjourna[...] 2010-12-31
[47] 서적 The Scarecrow Video Movie Guide Sasquatch Books
[48] 서적 Indelible shadows: film and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50 greatest Jewish movies: a critic's ranking of the very best https://archive.org/[...] Carol Publishing
[50] 서적 Boom and Bust: American Cinema in the 1940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서적 Hollywood in crisis: cinema and American society, 1929–1939 Psychology Press
[52] 서적 A distant technology: science fiction film and the machine age https://archive.org/[...] Wesleyan University Press
[53] 서적 Chaplin in the sound era: an analysis of the seven talkies McFarland
[54] 웹사이트 Best Actor https://www.nyfcc.co[...]
[55] 웹사이트 Films Selected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1989–2010 https://www.loc.gov/[...]
[56] 웹사이트 America's Funniest Movies http://connect.afi.c[...]
[57] Rotten Tomatoes The Great Dictator
[58]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s://www.rogerebe[...] 2007-09-27
[59] 서적 City of Nets: A Portrait of Hollywood in the 1940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0] 웹사이트 King, Queen, Joker: Synopsis https://allmovie.com[...] 2013-05-04
[61] 뉴스 Chaplin Suit Ends; Actor Pays $95,000 – Agreement in Plagiarism Case Gives Comedian Scenarios Written by Bercovici https://www.nytimes.[...] 2023-12-20
[62] 문서 My Autobiography
[63]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s://www.criterio[...] The Criterion Collection 2013-05-04
[64] 웹사이트 The Fuhrer And The Tramp #1 and Hank Steiner: Monster Detective #1 Launch in Source Point March 2020 Solicits https://www.bleeding[...] 2019-12-22
[65] 웹사이트 Final Speech https://www.whosampl[...] 2024-03-28
[66] 웹사이트 U2 Concert Intro https://www.charliec[...] 2021-12-06
[67] 웹사이트 Lavazza channels the 80-year-old words of Charlie Chaplin https://thesavvyscre[...] The Savvy Screener 2020-09-24
[68] 서적 From the Battlefront to the Bridal Suite: Media Coverage of British War Brides, 1942-1946 2007
[69] 문서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70]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1940) https://www2.bfi.org[...] 2022-12-13
[71]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15 October 1940) https://chaplinfilmb[...] Automattic, Inc. 2019-06-27
[72] 웹사이트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 (1940) http://www.imdb.com/[...] 2023-10-12
[73]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National Film Registry #9 {{!}} Now See Hear! https://blogs.loc.go[...] 2018-11-21
[74] 웹사이트 英語「double cross」の意味・使い方・読み方 {{!}} Weblio英和辞書 https://ejje.weblio.[...] 2022-10-27
[75]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1940) http://www.imdb.com/[...] 2023-10-12
[76] 웹사이트 テーマ3:映画の中の「現代」と「人間」 ─ 丸山、加藤の映画評論 - ヴァーチャル展示『我を人と成せし者は映画 ─ 加藤も丸山も映画大好き』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 2023-01-11
[77] 서적 チャップリン自伝 栄光と波瀾の日々 新潮社 2017-12-25
[78] 서적 My Father Charlie Chaplin Random House
[79] 웹사이트 Charlie Chaplin : The Score of The Great Dictator https://www.charliec[...] 2024-03-29
[80] 서적 ディズニーとチャップリン エンタメビジネスを生んだ巨人 光文社 2021-06-15
[81] 웹사이트 The Score of The Great Dictator https://www.charliec[...] 2023-10-17
[82]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Scenes audiences never saw http://www.charliech[...] 2021-09-03
[83]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1940) - Release info - IMDb https://www.imdb.com[...] 2024-05-03
[84] 웹사이트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 1960年・第34回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2022-12-24
[85] 웹사이트 チャップリンの独裁者 https://www.allcinem[...] 2023-10-12
[86]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 Books https://archive.nyti[...] 1940-10-16
[87] 웹사이트 Cahiers du cinéma’s 100 Greatest Films https://thependragon[...] 2022-12-23
[88]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comedies of all time https://www.bbc.com/[...] 2022-12-18
[89] 웹사이트 The 100 Best Comedies of All Time https://www.pastemag[...] 2018-05-22
[90] 뉴스 The 100 funniest comedies of all time https://www.timeout.[...] 2022-09-13
[91] 웹사이트 Jean-Luc Godard named the 10 best American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Far Out Magazine 2022-09-13
[92] 뉴스 Chaplin Dictator In Plagiarism: Suit Conrad Bercovici Sues Comedian For Use of Film Idea https://news.google.[...] 1941-04-15
[93] 뉴스 CHAPLIN SUIT ENDS; ACTOR PAYS $95,000; Agreement in Plagiarism Case Gives Comedian Scenarios Written by Bercovici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Company 1947-05-02
[94] 웹사이트 Bercovici v. Chaplin: 1947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ハイビームリサーチ 2023-01-12
[95] 웹사이트 Charlie Chaplin : Filming Modern Times https://www.charliec[...]
[96] 웹사이트 ヒトラー/チャップリンの映画戦略とウクライナ戦争 https://www.students[...] 慶応義塾大学 2024-12-24
[97] 웹사이트 Dokusaisha (1940) - Trivia https://www.imdb.com[...] 2023-01-13
[98] 웹사이트 どんな弾圧を受けたのですか? http://japan-freemas[...] 日本グランド・ロッジ 2013-10-09
[99] 서적 The Cambridge Biographical Encyclope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s://www.imdb.com[...] 2024-10-15
[101] 웹사이트 A few famous freemasons https://freemasonry.[...]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22-12-24
[10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our Worshipful Lodge http://www.calodges.[...] Beverly Hills Masonic Center Lodge No. 528 2013-10-30
[103] 서적 The Intermarium: Wilson, Madison, and East Central European Federalism Universal-Publishers 2007-06-30
[104] 서적 Pan-Europa Paneuropa Verlag GmbH, Augsburg y Ediciones Encuentro, S. A.], Madrid 2011-09-01
[105] 서적 Royal Arch Mason Magazine Spring, 1981
[106] 서적 10,000 Famous Freemasons: Volume IV Q to Z http://www.phoenixma[...] Macoy Publishing & Masonic Supply Co., Inc.
[107] 웹사이트 CPH STAGE Performance Review: ‘The Great Dictator’ https://cphpost.dk/2[...] 2018-06-06
[108] 웹사이트 An Adul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eatre Company https://www.stagebey[...] 2024-10-14
[109]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https://www.theatreb[...] 2024-11-01
[110] 웹사이트 Facebook https://www.facebook[...] 2024-10-14
[111] Youtube Varför ska man göra teater av Chaplins Diktatorn? https://www.youtube.[...] 2024-09-06
[112] 웹사이트 DIKTATORN {{!}} Malmö Stadsteater https://www.malmosta[...] 2024-10-14
[113] 웹사이트 『ヒトラー 〜最期の12日間〜』ブルーノ・ガンツ、オリヴァー・ヒルシュビーゲル監督来日記者会見 https://www.cinemaca[...] 2005-06-03
[114] 웹사이트 独裁者糾弾へ「新たなチャップリンを」 ゼレンスキー氏カンヌ開会式登場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22-05-18
[115] 웹사이트 "テーマ3:映画の中の「現代」と「人間」 ─ 丸山、加藤の映画評論 {{!}} ヴァーチャル展示『我を人と成せし者は映画 ─ 加藤も丸山も映画大好き』 {{!}} 図書館について {{!}} 立命館大学図書館"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 2023-11-25
[116] 웹사이트 チャップリンとヒトラー https://www.iwanami.[...] 2022-12-24
[117] 웹사이트 懐かしい営団地下鉄時代の『マナーポスター』今見てもすごいセンスあると話題に「でも今やると問題出そう」 https://togetter.com[...] 2022-12-24
[118] 웹사이트 営団地下鉄(現東京メトロ) | Japan Belier Art Center Inc. https://www.belier.c[...] 日本ベリエールアートセンター 2023-01-26
[119] 웹사이트 【東京藝術大学大学美術館】地下鉄10年を走りぬけて iichikoデザイン30年展 {{!}} Art Annual online https://www.art-annu[...] 美術年鑑社 2023-01-27
[120]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Paolo Nutini's Iron Sky speech https://www.radiox.c[...] 2023-11-26
[121] 웹사이트 去勢された20世紀的身体への訣別──「森村泰昌展・なにものかへのレクイエム──戦場の頂上の芸術」レビュー https://artscape.jp/[...]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023-01-27
[122] 웹사이트 トピックス {{!}}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 https://www.sharp-ne[...] シャープ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2023-01-27
[123] Youtube 044. You Nazty Spy! (1940) (18m 06s) - 3 stooges maniac iarchive:TheThreeSto[...] 2023-10-13
[124] 문서 독일의 패러디이다.
[125] 문서 아돌프 히틀러의 패러디이다.
[126] 문서 쌍십자당은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패러디이며 쌍십자는 나치당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의 패러디이다.
[127] 문서 요제프 괴벨스의 패러디이다.
[128] 문서 헤르만 괴링의 패러디이다.
[129] 문서 [[독일어]]로 [[오스트리아]]를 뜻하는 단어인 외스터라이히(Österreich)를 약간 변형해서 만든 단어이다.
[130] 문서 [[이탈리아]]의 패러디이다.
[131] 문서 [[베니토 무솔리니]]의 패러디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